고혈압이란 팔 위에 혈압대를 감아 측정한 동맥의 압력을 기준으로 수축기혈압 측정 140 mmHg 이상, 또는 이완기혈압(확장기혈압) 90 mmHg 이상인 경우를 고혈압이라 말합니다.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 모두 120 mmHg와 80 mmHg 미만일 때 정상 혈압이라고 합니다. 고혈압은 현대 사회에서 흔히 발생하는 만성 질환 중 하나이며 혈관 내의 혈압이 정상 수치를 초과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고혈압은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혈압의 정의와 분류
고혈압은 일반적으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상태로 정의됩니다. 고혈압은 본질성 고혈압(핵심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본질성 고혈압은 명확한 원인이 발견되지 않는 고혈압을 의미하며, 이차성 고혈압은 다른 기저 질환에 기인한 고혈압을 나타냅니다.
원인과 위험 요인
고혈압의 주요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식습관, 비만, 흡연, 고칼륨 섭취 부족, 알코올 소비, 스트레스 등이 있습니다. 또한 나이, 성별, 인종, 가족력, 만성 질환 등도 고혈압 발생에 영향을 미칩니다.
증상과 진단
고혈압은 대부분 초기에는 증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아 "침묵의 살인자"라고 불립니다. 그러나 고혈압은 무증상일지라도 심혈관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혈압 측정이 가장 간단하고 효과적인 진단 수단 중 하나이며, 정기적인 건강 검진이 중요합니다.
합병증
고혈압은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심장병, 뇌졸중, 신부전, 말초동맥질환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방과 관리
고혈압의 예방과 관리는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운동, 저염식, 건강한 식습관, 금주, 스트레스 관리 등이 고혈압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의료 전문가의 조언과 함께 정기적인 혈압 모니터링도 필요합니다.
약을 먹지 않고 혈압 낮추는 방법
①나트륨 함량이 적은 음식을 섭취하는 것입니다. ②육류, 피클, 올리브, 스프, 칠리, 베이컨, 햄, 소세지와 같이 나트륨과 첨가물이 들어간 일반적인 캔, 병 가공식품, 빵제품, MSG가 들어간 식품, 물이 추가된 육류(나트륨 함량이 더 높다) 제품은 피합니다. ③ 가짜 소금이나 소금 대체제(염화칼륨) 과다 사용하지 않습니다. ④적당량의 기름기 없는 식사를 하고 흥분제를 피합니다. ⑤카페인 섭취 줄이기. 카페인, 카페인이 들어간 음료 섭취를 중단합니다. ⑥섬유질이 많은 식품을 섭취합니다. ⑦혈압을 낮춰주는 훌륭한 보충제로는 코엔자임 Q10, 오메가 3, 생선 오일, 마늘, 커큐민 (강황에서 채집), 생강, 카옌, 올리브 오일, 견과류, 블랙 코호시, 산사나무, 마그네슘, 크로민 등이 많은 음식이나 영양보충체를 섭취합니다. ⑧비타민 B 섭취하기입니다. 비타민 B12, 6, 9는 심장 문제를 유발시키기도 하는 혈액의 호모시스테인 성분을 낮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⑨오메가3, 칼륨과 같은 무기질이 풍부한 식품 섭취하기 입니다. 토마토, 토마토 주스, 감자, 콩, 양파, 오렌지, 과일, 말린 과일 등의 식품이 이에 해당됩니다. ⑩금연하기입니다. 담배 연기에 들어있는 니코틴과 같은 흥분제가 혈압에 영향을 줍니다. ⑪체중 감량하기 입니다. ⑫마약과 알코올을 피합니다. ⑬신체에 스트레스를 주지 않도록 천천히 활동합니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일시적으로 혈압이 상승되므로 스트레스를 줄입니다. ⑭명상하면서 호흡률을 낮추는 단순한 과정을 통해서도 혈압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습니다. ⑮몇 시간 동안 혈압 상승을 억제해주는 뜨거운 목욕이나 샤워를 15분 동안 합니다.
고혈압에 대한 질문과 답변 표
질문 | 답변 |
고혈압 약은 먹다가 중단할 수 있나요? | 고혈압을 진단받은 환자라면 본인 임의대로 약물을 끊어서는 안 됩니다. 특히 나이가 중년을 넘었고, 단기간 혈압을 올릴 만한 원인(비만, 한약제, 진통제, 통증, 스트레스 등)도 없고, 표적 장기 손상이 있다면 더욱 그렇습니다. 그러나 생활습관을 철저히 개선하면 한 가지 약제는 끊을 수 있습니다. |
혈압약을 먹고 어지러운데 왜 그런가요? | 여름철 탈수 상태에서는 일시적으로 혈압이 떨어질 수 있어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하듯이 고혈압 약제 중에는 베타 차단제가 있는데 이 약을 복용하는 경우 갑자기 일어설 때 어지러울 수 있으니 천천히 자세를 바꾸어 일어나시시기 바랍니다. |
혈압약을 먹고 있는데도 평소 정상이던 혈압이 갑자기 높아지면 어떻게 하나요? | 혈압약을 먹고 있으면서 정확하게 혈압을 측정해도 평소보다 높으면서 구역, 구토, 두통, 시야 흐려짐 등이 발생한다면 빨리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그런 증상이 없다면 30분~1시간 정도 심리적, 신체적으로 안정을 취한 뒤 다시 측정해봅니다. 특히 불면, 스트레스, 과도한 활동, 폭음 등의 원인에 의해 일시적으로 혈압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결론
고혈압은 조기 발견과 적절한 관리를 통해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는 질환입니다. 개인의 건강한 생활 습관과 의료 전문가의 도움을 통해 고혈압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적극적인 예방과 관리를 통해 건강한 삶을 살아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질병과 건강(Health)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안 (Presbyopia)과 백내장( Cataract) (0) | 2024.01.18 |
---|---|
갑상선 (Thyroid Gland) (0) | 2024.01.18 |
당뇨(Diabetes) (0) | 2024.01.18 |
우울증((Depressive disorder) 증상 자가진단 (0) | 2024.01.18 |
건강(health) (1) | 2024.01.18 |